NEXT


NEXT




 
작성일 : 14-09-14 18:26
아미노산 대사
 글쓴이 : 설경도
작성일 : 14-09-14 18:26 조회 : 9,258  
   http://www.seumi.com/bbs/board.php?bo_table=nb5&wr_id=210 [1211]
아미노산 대사
 
단백질과 아미노산

식물(특히 콩류)은 씨앗에 단백질을 저장한다. 그러나 동물은 여분의 단백질을 산화시킨다.
따라서 동물은 섭취한 질소와 배출된 질소의 질소 균형을 유지한다. 단백질 또는 에너지 결핍 상태에서는 신체 단백질을 분해한다. 기아 상태 및 cachexia (악액질, 惡液質)상태에서는 섭취보다 배출이 많은 음성 질소 균형 상태가 된다. 한참 성장 중이거나 회복중인 동물은 섭취가 배설보다 많은 양성 질소 균형 상태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질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단백질 섭취량은 하루에 50 그람 정도이다. 그러나 선진국 사람들은 배출량 보다 2배 정도의 단백질 섭취량을 보이고 있다.
하루의 평균 단백질 교체량은 250 그람 정도이다.
 
사람 단백질은 각기 수명이 다르다. 신체의 총 단백질량은 11 kg이며 이중 25%는 대사적으로 활성을 띤 콜라젠이다. 전형적인 근육 단백질은 3주 동안 생존하지만 다수의 간 효소는2-3일에 불과하다. 일부 조절 효소의 반감기는 수분~수 시간에 불과하다.
 
아미노산의 대부분은 단백질 분해 시점에서 방출되지만 이들은 곧 새로운 단백질로 재 편성된다. 식이로 섭취한 아미노산의 1/3 이하가 새로운 단백질 합성에 이용된다. 섭취 단백질은 대부분 산화되어 에너지를 생성, 제공하고 여분의 질소는 대부분 요소로 바뀌어 체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암모니아 형태로도 소량 배출된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peptide 결합으로 연결된 polypeptide이다. 위와 소장에서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된 후 체내에 흡수된다. 흡수된 아미노산은 purine이나 pyrimidine 등 핵산 염기 또는 heme이나 조직 단백질 합성에 이용된다. 간에서 아미노산의 아미노기는 아미노기 전이반응으로 α-케토산에 전이되어 새로운 아미노산을 만들거나 요소로 되어 배설된다. 아미노산의 카복실기는 탈 탄산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로 제거되고 나머지 아민 화합물은 polyamine이나 신경 전달물질로 사용된다. 아미노기가 떨어져 나간 아미노산의 탄소골격부분은 당질, 지질 합성에 이용되거나 TCA 회로의 중간 대사물질로 에너지 대사에 이용된다.
 
단백질의 소화

단백질을 섭취하면 위(stomach)에서 위액 분비를 시작한다. 위액의 강한 산성(pH 1~2)에 의해(H+) pepsinogen이 활성형 pepsin이 되면서 단백질 소화가 개시된다. Pepsin은 케파틴(keratin), 뮤신 등은 소화할 수 없지만 글로불린(globulin), 알부민(albumin), 헤모글로빈(hemoglobin), 카제인(casein) 등 대부분의 단백질을 소화한다. 일부 소화된 단백질이 십이지장으로 넘어가면 pH 7∼8로 중화되면서 췌장액 분비를 자극한다. 

 췌장액에는 단백질 소화효소가 zymogen 형태(비 활성형)로 들어있다. 췌장액 중의 trypsinogen은 소장에서 분비된 enterokinase에 의해 활성형 trypsin이되고 활성형 trypsin은 chymotrypsinogen, procarboxypeptidase, proelastase 등의 zymogen을 각각 활성형인 chymotrypsin, carboxypeptidase, elastase로 전환되어 단백질을 소화한다. 이들 단백질 소화효소는 단백질 내 특정부위의 peptide 결합을 가수분해하며 그 기질특이성을 표 14.1에 나타내었다.
  Pepsin, trypsin, chymotrypsin 등은 단백질을 peptide로 가수분해하는 endopeptidase이다. 그리고 aminopeptidase, carboxypeptidase, di- 및 tri-peptidase 등은 peptide를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하는 exopeptidase이다.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되면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으로 들어가고 문맥을 거쳐서 간장에 이른다. 최근에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70∼80%가 dipeptide나 tripeptide형으로 소장에서 흡수되고 혈액에서 아미노산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미노산 이용
 
간장으로 운반된 각종 아미노산은 아미노산 pool을 형성하여 다음과 같은 경로를 거친다




단백질 재 합성

아미노산은 간장에서 단백질로 재 합성되어 효소, 호르몬(somatomedin), 혈장 단백질(albumin, globulin, fibrinogen 등)이나 혈액 응고인자(prothrombin, proaccelerin, proconvertin, Christmas 인자 등) 등의 보급과 유지에 이용된다.
 
당 신생, 지질 합성

아미노산의 일부는 간(liver)에서 암모니아와 탄소골격으로 분해된다. 암모니아는 요소로 합성되어 요를 통해 배설되고 탄소골격 부분은 당질(glucose를 거쳐 glycogen)이나 지질(지방산, triacylglycerol, cholesterol, ketone체, 담즙산, VLDL, HDL 등)로 전환된다. 간 특유 반응에는 요소 합성, pyrimidine 합성, 당 신생, 케톤체 생성, 담즙산 생성, 지 단백질 합성 등이 있다. 또 요산 합성, creatine 합성, hemoglobin으로부터 담즙 색소 합성도 간에서 일어난다.
 
간을 거쳐 신체 조직에서 이용

일부 아미노산은 그대로 간을 통과하여 신체 여러 조직으로 운반된다. 주로 뇌와 근육으로 들어가는 아미노산이 많다. 이곳에서 아미노산이 분해되고 이 때 생성된 암모니아가 glutamate와 결합하여 glutamine이 된다. 또한 신장으로 운반된 암모니아는 소변에서 NH4+형이 되어 배설된다. 사람의 혈중 아미노산 질소는 공복 시 3∼5.5㎎/㎗, 단백질 섭취 후에는 5∼9.5㎎/㎗이다.
 
아미노산의 분해와 생합성
 
아미노산 분해
 
아미노산의 탈 아미노 반응(산화적 탈 아미노 반응)
일부 아미노산은 아미노기가 산화되어 이미노산(imino acid)이 된 다음에 가수분해되어 탈아미노 반응이 일어난다.

 
 

Glycine의 경우 glycine synthase에 의해 산화적으로 분해된다. Serine과 threonine도 glycine으로 전환되면 이 과정을 거쳐 분해될 수 있다.

 
 

비산화적 탈 아미노반응

아미노산에 pyridoxal phosphate를 보효소로 하는 탈수효소(dehydratase)가 작용하면 비산화적 탈아미노반응이 일어난다. 이 효소에는 serine dehydratase, threonine dehydratase, cysteine desulfhydrase(탈 황화수소효소) 등이 있다. 또 Methionine은 homocysteine → cystathione을 거쳐 cysteine으로 된다. 여기서 Cysteine은 cysteine desulfhydrase에 의해 H2O 대신에 H2S를 방출한다.
 


불포화적 탈 아미노반응은 histidine이나 aspartate에 ammonia lyase(histidinase, aspartase)가 작용할 때 일어난다.


가수분해적 탈 아미노반응은 glutamine이나 asparagine에 아미노산 가수분해효소 (asparaginase, glutaminase)가 작용할 때 일어난다.



Purine nucleotide 회로에 의한 glutamate의 탈 아미노반응

근육이나 뇌에서 AMP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adenylate deaminase에 의해 탈 아미노반응을 일으켜서 IMP(inosine monophosphate)로 되며, 이 반응과 연동하여 glutamate는 α-ketoglutarate로 된다

 
 
                           Glutamate-purine nucleotide 회로에 의한 암모니아 형성
 

아미노기 전이반응
 
이 반응은 transaminase의 보효소인 pyridoxal phosphate(PLP) 의존성 반응이다. Pyridoxal phosphate는 아미노산대사에서 transaminase, glutamate decarboxylase, glutamate racemase 등의 보효소로 되어 각각 아미노기 전이, 탈 탄산, 라세미화 반응에 관여하고 있다



아미노기 전이반응


 

Pyridoxal phosphate(PLP)의 작용

 
이 외에도 pyridoxal phosphate는 약 20종의 아미노산 반응에 관여하고 있으며 serine과 glycine의 상호변환이나 phosphorylase에 관여한다. 또 라세미화에서 생긴 D-아미노산은 동물조직에서 D-아미노산 oxidase에 의해 산화적으로 탈 아미노화되어 α-케토산으로 되거나 transaminase에 의해 L-아미노산으로 전환되는데 이용된다.
미생물에서 D-아미노산은 racemase에 의해 상호 변환되며 고등식물에서는 잘 밝혀져 있지 않다. Transaminase에는 aspartate aminotransferase(GOT)나 alanine aminotransferase(GPT)가 보편적이며 간, 심장, 신장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며 이 조직들의 질환 시에는 혈청 중에 이 효소들의 농도가 증가하므로 임상검사에 이용된다. 이외에 alanine glyoxylate transaminase(AGT), glutamate glyoxylate transaminase(GGT) 등도 있다. 또 glutamate는 mitochondria 내막을 통과하여 oxaloacetate와 아미노기 전이반응을 일으키고, 그 자신은 α-ketoglutarate로 되어 TCA 회로에서 산화된다.
 
암모니아의 반응

탈 아미노 반응에서 생긴 암모니아는 자유롭게 mitochondria 막을 통과한다. 혈액 중의 전 암모니아 양의 1%는 NH3형으로 존재하고 나머지는 암모늄이온(NH4+)형으로 존재한다. 암모늄이온은 형질막이나 mitochondria막을 통과할 수 없다. 암모니아는 뇌에 특별하게 강한 독성을 나타내며 10-3mol/ℓ 이상의 농도가 되면 혼수상태로 된다. 이러한 독성은 암모니아가 TCA 회로의 구성성분인 α-ketoglutarate를 이 계에서 제거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뇌에서는 glutamine을 생성하여 암모니아를 간이나 신장으로 운반한다.
 
산 아미드 형성

Glutamate는 ATP와 결합한 glutamine synthetase의 작용으로 유독한 암모니아를 받아들여 산 아미드체인 glutamine을 합성하고 암모니아를 무독화한다. 이 반응은 가역적인 것으로 glutamine은 각 조직에서 생긴 암모니아 운반에 종사한다. Aspartate는 glutamate의 대신으로는 될 수 없다. 또 asparagine은 아미노 공여체로 될 수 없고 식물에서의 단백질로 도입되는 반응 이외에 알려진 것이 없다. 이외에 glutamine은 아미노기 공여체로 작용하여 purine이나 pyrimidine 합성, glucosamine 합성(점성다당류), NAD+ 합성에 관여한다.


Glutamate-glutamine 전환반응
 

요소회로(ornithine cycle, Krebs-Henseleit cycle)

간세포에서는 그림 14.6과 같은 회로를 통해 요소를 합성한다. 간세포의 mitochondria 내에서는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의 작용으로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에서 carbamoyl phosphate를 생성한다. 이것이 ornithine과 반응하여 citrulline으로 되며 세포질로 나와서 aspartate와 결합하여 argininosuccinate로 되고 fumarate를 방출하여 자신은 arginine이 된다.
Arginine이 arginase의 작용으로 가수분해를 받아서 ornithine으로 될 때 요소를 방출한다. Ornithine이 mitochondria로 들어가면 이 회로가 한 바퀴 돌게 되며 이 과정에서 4 mol의 ATP가 소비된다. 요소회로의 조절은 일차적으로 carbamoyl phosphate의 합성단계에서 일어난다.
Carbamoyl phosphate synthetase는 allosteric activator인 N-acetylglutamate가 없으면 불활성이다. 이 activator는 간에서 acetyl-CoA와 glutamate로부터 합성되며 이 반응을 촉매하는 N-acetylglutamate synthetase는 arginine에 의해 활성화된다.
요소회로의 부가적인 조절은 회로의 중간물질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요소회로에 관여하는 효소가 결핍되면 혈액 중에 암모니아가 증가하여 정신장해나 성장지연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에는 혼수상태가 되고 죽음에 이르게 된다.
동물들은 종류에 따라 암모니아(어류, 양서류), trimethylamine(해수어류 일부), 요소(개구리, 거북, 포유류), guanine(거미류), 요산(조류, 파충류, 곤충류) 등으로 질소를 배설한다.

 

요소회로(ornithine cycle)
 

Creatine 합성

Creatine은 glycine, arginine, methionine으로부터 합성된다. Transamidinase에 의해 arginine과 glycine이 반응하면 guanidinoacetate가 생성되고 다음에 활성 methionine(S-adenosyl methionine; SAM)에 의해 methyl화되면 creatine이 생성된다.
이 때 arginine은 ornithine이 된다. Creatine은 90% 이상이 근육에 존재하며 심근에 많고 평활근에는 적다. Creatine은 ATP와 반응하여 creatine phosphate가 되며 creatine phosphate는 혐기적 조건하에서 근 수축 시에 ADP가 증가하면 ATP를 재생하여 근수축의 에너지원으로 이용되고 creatinine이 생성된다.
Creatinine은 근육이나 요중에 함유되어 있으며 정상뇨에는 1㎎/㎖ 이상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다. Creatinine의 배설은 근육조직의 양과 활동에 관계가 있다. Creatinine 계수는 거의 일정하며 성인남자에서 20∼26(1.5∼2.0g/일), 여자에서 14∼22(0.8∼1.5g/일)이다.

 
 
 

 Creatine의 합성
 
Transamidinase는 영장류의 경우 신장, 췌장, 간에 존재하며 간에서 arginine으로부터 creatine을 합성한다. Rat, 토끼, 개의 경우 간에는 이 효소가 없어 신장에서 guanidinoacetate를 만들어 간장으로 운반한 다음 creatine을 합성한다.
 
α-케토산에서 아미노산 생성

간에서는 α-ketoglutarate에서 glutamate를 생성한다. 간 이외의 조직에서 암모니아는 mitochondria 중에서 α-케토산(언제나 α-ketoglutarate나 pyruvate)과 반응하여 새로운 아미노산(glutamate나 alanine)을 만든다. 특히 근육 중에서는 pyruvate와 반응하여 alanine을 생성하여 간장에 운반한다. 이것을 glucose-alanine 회로(그림 14.8 참조)라 한다.


 Glucose-alanine 회로
 
직접 배설

신장에서는 아미노산의 탈 아미노 반응으로 암모니아를 생성하여 직접 배설한다. 또 여러 조직에서 운반된 glutamine에 glutaminase가 작용하여 요중으로 암모니아를 배설한다. 요중 암모니아의 60%는 glutamine에서 유래하고 나머지 40%는 신장에서 아미노산의 탈 아미노 반응으로 직접 생성한 암모니아이다. 보통 하루에 0.5∼0.7g의 암모니아를 염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으로 만들어 배설한다.
 
아미노산의 탈 탄산반응

기질특이성이 높은 amino acid decarboxylase에 의해 아미노산을 탈탄산하여 아민을, 또 산성아미노산의 경우는 중성아미노산을 생성한다. 이 효소는 동물, 미생물 등에 존재하지만 pyridoxal phosphate(PLP)를 보효소로 하는 것이 많고 세균에서는 특히 활성이 높다. 생성된 아민들은 강한 생리작용을 가져 호르몬 또는 신경전달물질 등의 생체 화학정보물질로 작용한다.

 
 
- Phenolamine류

Phenylalanine의 탈 탄산반응으로 phenylethylamine(각성 아민; 정신 분열증, 스트레스에 의해 요중 배설량 증가), phenylethanol amine, cresole, phenol 등이 생성되고 tyrosine에서는 tyramine(자궁수축), octopamine(교감신경 효과제) 등이 생성된다.

- Catecholamine류

DOPA(3,4-dihydroxyphenylalanine)의 탈탄산반응으로 dopam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부신수질호르몬) 등이 생성된다.

- Indole amine류

Tryptophan의 탈탄산반응으로 tryptamine, skatole, indole이 생성되고 5-hydroxytryptophan에서는 serotonin(평활근 수축), melatonin(송과체호르몬) 등이 생성된다.

- Imidazole amine

Histidine의 탈탄산반응으로 histamine(혈관투과성 증대, 위액 분비 촉진)이 생성된다.

- Polyamine류

Ornithine의 탈탄산반응으로 putrescine이 생성되고, 이것은 spermidine과 spermine 합성에 제공된다.(polyamine 경로) Lysine에서는 cadaverine이 생성된다. Cadaverine, putrescine은 부패독(ptomaine)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tyramine, histamine, tryptamine, agmatine(arginine의 탈탄산반응으로 생성) 등이 있다.

- 아미노산류

Aspartate의 탈 탄산반응으로 β-alanine(pantothenate 구성성분), Glutamate에서는 γ-aminobutyrate(억제성 신경전달물질), cysteine sulfinate에서는 hypotaurine(해독작용), cysteine에서는 mercaptane이 생성된다.
 
아미노산 탄소골격의 분해

아미노산의 탄소골격은 대사되기 위해 당질이나 지질 대사경로에 들어가거나 직접 TCA 회로의 대사 중간체가 되어 연소되거나 또는 당 신생합성경로를 거쳐서 포도당으로 합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아미노산을 당원성 아미노산(glucogenic amino acid)과 케톤원성 아미노산(ketogenic amino acid)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당원성 아미노산은 대사에 의해 α-ketoglutarate, succinyl-CoA, fumarate, oxaloacetate 등의 C4-dicarboxylic acid나 pyruvate로 된 다음 TCA 회로 일부와 당 신생합성과정을 경유하여 glucose 또는 glycogen으로 전환되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케톤원성 아미노산은 대사에 의해 acetoacetic acid와 같은 케톤체가 된 다음 acetyl-CoA를 거쳐서 지질대사경로에 합류하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그러나 이 분류는 상당히 애매모호한 점이 있다.(표 14.2 참조)
 

케톤원성 아미노산인 lysine, leucine에서 유리형의 acetoacetate를 생성한다. Phenylalanine, tyrosine, isoleucine, tryptophan 등은 케톤원성도 되고 당원성도 되는 양원성 아미노산이고 이외에는 당원성 아미노산이다

 

아미노산 탄소골격의 대사경로
 
아미노산 생합성

필수 아미노산은 음식물의 섭취나 신체 단백질의 분해에 의해 공급되며 비 필수아미노산은 생체 내에서 합성할 수 있다.
Aspartate, glutamate, alanine 및 serine: 해당 또는 TCA 회로에서의 대사중간체인 α-케토산에 아미노기를 전이하여 합성한다.
Glycine, glutamine, arginine 및 proline: 대사적으로 serine에서 glycine이 생기고 glutamate에서 glutamine, arginine 및 proline이 생성된다.
Tyrosine과 cysteine: 각각 필수아미노산인 phenylalanine과 methionine에서 생성된다.
Histidine: Histidine의 imidazole 고리를 포유동물에서는 합성할 수 없다. 그러나 식물이나 미생물에서는 purine 신생(de novo) 합성경로의 5-phosphoribosyl-1-pyrophosphate (PRPP)에서 생긴 aminoimidazole carboxamide ribosyl-5-phosphate가 ATP-imidazole 회로에 들어가 몇 단계를 거쳐 imidazole glycerol phosphate를 형성하고 탈수와 아미노기 전이를 거쳐 합성된다.
 
질소평형

질소평형(nitrogen balance)이란 섭취질소 총량과 배설질소 총량(대 소변, 피부, 손톱, 발톱, 모발)의 차이를 말한다.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성인에서는 섭취질소 총량과 배설질소 총량이 같으며 이를 질소평형 상태라고 한다. 성장기의 어린이, 임산부, 회복기의 환자는 배설 질소 총량이 섭취질소 총량보다 작으며 이 경우에는 양(positive)의 질소평형이 된다. 단백질의 섭취부족, 열성(熱性)질환, 전염병, 소모성 질환 등으로 조직 단백질이 분해되거나 화상, 수유, 사망 직전, 갑상선 기능 항진 등일 때는 배설 질소 총량이 섭취질소 총량보다 많아지며 이 경우에는 음(negative)의 질소평형이 된다.

질소평형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는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성장호르몬, androgen, insulin, 갑상선호르몬 등이 있으며 양의 질소평형으로 유도한다. 또 glucocorticoid는 단백질의 분해를 촉진하기 때문에 음의 질소평형으로 유도한다.

사람은 단백질을 섭취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체내질소를 대 소변, 피부, 손톱, 발톱, 모발 등으로 배설한다. 이것을 불가피 질소 손실이라 하며 성인 남자의 경우 하루에 체중 1㎏당 대변으로 12㎎, 소변으로 34㎎, 피부와 모발 등으로 1㎎의 불가피 질소손실이 일어난다.
 
각종 아미노산 대사와 선천적 대사이상

특정 아미노산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효소가 선천적으로 결핍되거나 활성이 저하하면 체내에 특정 아미노산 또는 그의 유도체(케토산, 히드록시산)가 증가한다. 이들 물질은 신장에서의 흡수역치를 넘으면 요중으로 배설된다. 이것을 일출(溢出)형 아미노산뇨증이라 한다. 한편 신성 아미노산뇨증은 신 세뇨관의 특정 아미노산 재흡수장해 또는 세뇨관의 상해로 전 아미노산 재흡수 장해에 의해 소변으로 다량의 아미노산을 배설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선천적 효소 결핍이나 활성 저하는 DNA의 돌연변이가 치사적인 변이가 아닌 변화를 일으키고 이것이 수식된 유전정보로서 자손에 전달된 결과 일어나는 것이다. 아미노산의 대사 이상증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증상은 경련, 정신 박약 등의 신경증상, 색소이상, 피부이상, 특유의 취기 등이다. 정신박약이 되는 원인은 특정 아미노산의 체내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뇌조직에서의 정상적인 단백질 합성 저해, 아미노산 대사물질의 부족에 의한 뇌 에너지계의 저하, 암모니아 등에 의한 중추신경계 장해 등이다.

신생아기의 페닐케톤뇨증(phenylketonuria; PKU), 히스티딘뇨증(histidinuria), 단풍나무시럽병(marple syrup urine disease), 호모시스틴뇨증(homocystinuria) 등은 신생아 집단 선별검사(mass screening)에 의해 조기 진단되면 결핍 효소의 기질인 특정아미노산의 섭취가 제한된 우유나 식품을 이용한다. 또 결핍 효소의 보 효소나 기질 대사 생산물을 공급하는 경우도 있다.
 
- Alanine, aspartate, glutamate

이 아미노산들은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GOT), glutamic-pyruvic transaminase(GPT)에 의한 아미노기 전이반응으로 α-케토산이 된 다음 TCA 회로에서 대사된다. Alanine은 glucose-alanine 회로(그림 14.8 참조)에서 생성, 대사되며 cysteine의 산화로 생성되는 cysteine sulfinate의 탈 황산과 kynurenine의 분해에 의해서도 생성된다. Aspartate는 asparagine synthetase에 의해서 asparagine이 되고, 요소 회로에 관여하며 carbamoyl phosphate와 결합하여 pyrimidine 염기합성에 관여한다.

Glutamate는 glutamine synthetase에 의해 glutamine이 되며 glutamate decarboxylase에 의해 탈 탄산되면 γ-aminobutyrate가 된다. 또 glutamate는 cysteine, glycine과 함께 glutathione의 구성 성분이 되고 엽산의 구성성분이 된다.

-Glycine, serine, threonine

이 아미노산들의 주된 대사경로를 그림 14.10에 나타내었다. Glycine synthase는 복합 효소계로 보 효소로 PLP, lipoate, FAD, FH4를 가진 4 종류의 효소단백질이 mitochondria 내막에 느슨하게 결합하고 있다. 이 효소계에 의해 glycine이 산화적으로 분해된다.
 
 
Glycine, serine, threonine의 주된 대사경로
 

Glycine synthase의 활성은 간장이 가장 높고 신장에서도 상당히 인정되며 이 효소계의 선천적 장해에 의해 고글라이신혈증(hyperglycinemia)이 일어난다. 비 ketosis형 고글라이신혈증은 glycine synthase의 결핍이 원인이다. 증상으로는 경련, 지능장해(뇌파이상), 수액(髓液) 중의 glycine 농도의 현저한 증가(glycine 뇌증) 등이 있으며 유아기, 소년기까지 생존한다.
Ketosis형은 원인 불명이며 증상으로는 생후에 주기적인 ketoacidosis가 일어나며 구토, 근 긴장저하, 경련 등을 일으키고 정신 신체 발육의 지연이 일어난다. 과사르코신혈증(hypersarcosinemia)은 Dimethylglycine dehydrogenase의 결핍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sarcosine의 혈중, 조직(간, 뇌) 농도의 상승, 요중 배설량 증가 등이 일어난다. Glycine은 아미노기 전이나 산화적 탈 아미노반응으로 glyoxylate를 생성하여 methyl기 공급원이 된다. 또 creatine, porphyrin, glutathione, purine 합성의 원료가 된다. Glycine은 serine hydroxymethyl transferase의 작용으로 5,10-methylene-FH4로부터 methyl기를 제공받으면 serine이 되며 역반응도 가능하다.

Serine은 탈 아미노반응으로 pyruvate가 되며 탈 탄산반응으로 ethanolamine이 된다. Serine과 ethanolamine은 인지질의 구성성분이다. Threonine은 탈 아미노반응으로 α-ketobutyrate가 되고 이것은 propionyl-CoA를 거쳐 succinyl-CoA로 전환되며 산화반응에 의해서는 aminoacetone을 거쳐 pyruvate로 전환된다. 또 threonine aldolase가 작용하면 glycine이 생성된다.
 
-Methionine, cysteine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들의 주된 대사경로는 그림 14.11과 같다. Cysteine은 아미노기 전이반응이나 탈아미노 및 탈황반응에 의해 pyruvate가 된다. 또 산화되면 cysteine sulfinate를 거쳐 taurine으로 전환된다. Cysteine은 glutamate, glycine과 함께 glutathione을 형성한다.
 

 
Methionine, cysteine의 주된 대사경로
 

cysteine 대사장애로 시스틴증(cystinosis)이나 시스틴뇨증(cystinuria)이 나타난다. 시스틴증은 원인이 확실하지 않은 분자결함에 의한 lysosome 저장장애로 망상내피세포에 광범위하게 cystine 결정체가 침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영아기 신 장애형은 판코니증후군(Fanconi's syndrome)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비타민 D-저항 구루병, 만성 acidosis, 다뇨증, 탈수증 등이 현저하며 이것들은 모두 원위 신 세뇨관 기능부전에서 초래되며 각막 혼탁, 성장 장애, 요독증 등이 나타나고 10세 이전에 사망하게 된다. 성인 신 장애형은 신장도 장애되지 않고 수명도 짧아지지 않으며 골수, 백혈구 및 각막에 cystine이 침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사춘기 신 장애형은 눈과 신장의 장애가 있으며 신장장애는 반드시 신장 기능부전을 일으키지 않는다. 시스틴뇨증은 수송기구의 유전적 장해가 원인이며 cystine, ornithine, lysine, arginine의 지속적인 과잉 요중 배출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이들 아미노산의 세뇨관 재흡수에서 신장운반장애에 의한 것이며 중요한 임상증상은 신장의 cystine 결석형성에 의한다.

Methionine은 methionine adenosyltransferase의 작용으로 ATP와 반응하여 S-adenosyl methionine이 되며 이것은 methyl기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Methionine은 methyl기 전이로 homocysteine이 되고 cystathionine β-synthase의 작용으로 serine과 반응하여 cystathionine이 된 다음 cystathionine γ-lyase의 작용으로 분해되면 cysteine이 생성된다.

이 과정에 관여하는 cystathionine β-synthase가 결손 또는 결핍되면 호모시스틴뇨증(homocystinuria)이 발생한다. 이것은 유황을 함유한 아미노산 대사가 장애되는 선천적 질환으로 혈중의 methionine이나 homocystine 농도가 증가, 요중에 대량의 homocystine 과잉배설이 특징이다. 전형적인 경우에는 백색의 피부, 금발, 지능장해, 간종, 수정체 편위(偏位), 심혈관계의 장애가 있으며, 더욱이 척추후만, 측만, 누두흉(漏斗胸) 등의 골격계 장애가 일어난다. 임상적으로는 마르팡증후군(Marfan's syndrome)과 비슷하다. 저 methionine, 고 cysteine 식이, vitamin B6의 투여로 치료한다.

또 cystathionine γ-lyase가 결핍되면 시스타타이오닌뇨증(cystathioninuria)이 나타나 조직 cystathionine의 농도가 증가하고 요로 배설된다. 환자의 1/3 정도에서 정신발달과 지능장해, 빈혈, 혈소판 감소, 말단비대증, 신성 요붕증, 귀먹음을 수반하는 귀의 기형, 눈의 기형이 나타나며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저 methionine 식이와 비타민 B6의 대량투여로 치료한다.

Putrescine은 ornithine에서 decarboxylase의 작용으로 생성된다. 이 효소의 활성은 정상조직에서는 낮으나 전립선, 흉선, 종양세포 등의 세포증식이 활발한 조직에서는 높으며 조직의 성장이나 회복을 위한 자극에 의해 세포증식에 앞서서 활성이 증대한다.
-Valine, leucine, isoleucine

이들은 분지쇄 아미노산이며 모두 필수아미노산이며 주된 대사경로는 그림 14.12와 같다. 동물에서는 탈 아미노 반응을 받아서 분지쇄 α-케토산으로 되고 mitochondria 내에서 대사된다. 미생물에서는 이들 아미노산은 threonine에서 생 합성된다. 인간 대사에서 여러 가지 효소결핍증이 알려져 있다.
 

                     Valine, leucine, isoleucine의 주된 대사경로
 

과 발린혈증(hypervalinemia)은 valine을 α-ketoisovalerate로 전환하는 valine transaminase의 결핍이 원인이며 혈장 중 valine 농도는 증가하고 대응하는 α-케토산 농도와 요중 배설은 감소한다. 임상증상은 구토, 발육장해, 안진(眼振), 정신발육장해 등이며 저 valine 식이 투여로 치료한다.

과 류신혈증(hyperleucinemia)과 과 이소류신혈증(hyperisoleucinemia)은 leucine 및 isoleucine transaminase의 결핍이 원인이며 혈장 중 leucine 및 isoleucine의 농도가 증가하고 대응하는 α-케토산은 증가하지 않는다. 발육과 정신발달 장해, 망막의 퇴행변성과 귀먹음(聾)을 수반한다. 저 leucine, isoleucine 식이 투여로 치료한다.

단풍시럽뇨증(maple syrup urine disease, branched-chain ketoaminoacidemia)은 분지쇄 아미노산에서 생성된 α-케토산의 산화적 탈탄산 다효소복합체의 이상이 원인이다. Valine, leucine, isoleucine의 농도가 증가하고 혈장, 수액, 조직에 축적되며 α-케토산과 유도된 α-히드록시산은 요중으로 배설되고 alloisoleucine의 혈중농도도 증가한다. 생후 2∼3일에 발생하여 수일∼수주간 내에 사망하게 되며 생존하여도 심한 정신신체발달지연이 일어난다. 초기증상은 구토, 체중증가 정지이며 증상의 진행에 따라 근 경련, 강직성 발작, 호흡장해가 일어나고 요중의 L-β-methyl-α-ketovalerate 중합체에 의해 카라멜과 같은 냄새가 난다.
이소길초산혈증(isovaleric acidemia)은 isovaleryl-CoA dehydrogenase의 결핍이 원인이며 혈장, 수액, 요에서 isovaleric acid가 증가한다. 몸에서 치즈 냄새가 나고 구토와 대사성 acidosis가 나타난다. β-methylcrotonylglycine 뇨증은 methylcrotonyl-CoA carboxylase의 결핍이 원인이며 지능발육지연, 중추신경기능장해, 근이영양증 등이 나타난다. α-methylacetoacetate 뇨증과 β-hydroxy-α-methylacetate 뇨증은 β-ketothiolase의 결핍이 원인이며 구토, ketoacidosis, 혼수가 증상이다. 
 
-Lysine

동물에서 lysine 분해는 mitochondria 내에서 일어나며 주된 대사경로를 그림 14.13에 나타내었다. Lysine은 주로 saccharopine dehydrogenase의 작용으로 saccharopine이 된 다음 최종적으로 acetoacetyl-CoA가 되는 분해대사 경로를 거친다.
 
 
Lysine의 주된 대사경로
 
Saccharopine dehydrogenase의 반응에는 α-ketoglutarate와 NADPH를 필요로 하며 이 효소가 결핍되면 혈장, 요, 뇌척수액의 lysine 농도 상승, 부경로에 의한 pipecolate 배설이 증가하는 지속성 과라이신혈증(hyperlysinemia)을 일으킨다.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정신이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또 간에서 lysine은 lysine dehydrogenase의 작용으로 1,2-didehydropiperidine-2-carboxylate가 된 다음 대사되는 분해경로를 거치기도 한다. Lysine dehydrogenase가 결핍되면 고 암모니아혈증을 동반하는 주기성 과라이신혈증을 일으키며 혈중 및 요중의 lysine 농도 상승과 단백질 부하 시에 lysine, arginine, 암모니아의 혈장농도가 증가한다. 임상적으로 구토, 경련, 혼수상태, 뇌파이상 등 고암모니아혈증의 증상이 나타난다. 
 
- Arginine, proline

이 아미노산들의 주된 대사경로를 그림 14.14에 나타내었다. Arginine은 요소회로의 구성성분이며 argininosuccinate에서 생성되지만 arginase에 의해 신속하게 요소와 ornithine으로 분해된다. Arginine은 glycine과 함께 creatine을 형성한다.
 
 
 
Arginine, proline의 주된 대사경로
 
Proline은 proline dehydrogenase에 의해 산화되면 Δ1-pyrroline-5-carboxylate가 되고 다음에 glutamate가 되며 최종적으로 α-ketoglutarate가 되어 TCA 회로로 들어가 분해대사된다. 이 과정에 작용하는 효소가 결핍되면 체액 중에 proline이 과잉으로 존재하게 되는 과프롤린혈증(hyperprolinemia)을 일으키며 다음과 같이 2 가지 형이 있다. 제Ⅰ형은 proline dehydrogenase의 결핍이 원인이며 혈중 proline 농도 상승과 glycine, hydroxyproline의 요중 배설이 증가한다. 증상이 없거나 신장이나 요로의 기형, 혈뇨, 신우신염(腎盂腎炎), 신부전, 청력상실, 발육장해가 일어나는 알포트증후군(Alport's syndrome)이 나타난다.
제Ⅱ형은 Δ1-pyrroline-5-carboxylate 산화효소의 결핍이 원인이며 혈중 proline 농도의 현저한 상승이 일어난다. 신장 기능장해는 없고 무증상이거나 정신발육 장해, 일과성 마비, 경련, 홍반 등을 나타낸다. Proline은 비필수아미노산이므로 아미노산 제한조치는 효과가 없다. 
 
- Histidine

Histidine의 주된 대사경로를 그림 14.15에 나타내었다. Histidine의 탈탄산으로 histamine이 생성되며 이것은 부종, 기관지 수축 등의 allergy 증상을 일으킨다. Histidine은 histidase(histidine ammonia-lyase)의 작용으로 urocanate가 되고 더욱 대사되어 glutamate로 되는 분해경로를 통해 대사된다.
 

Histidine의 주된 대사경로
 
 
Histidase가 유전적으로 결손되면 히스티딘혈증(histidinemia)을 일으켜 혈중 histidine의 상승, 요중 histidine, imidazole pyruvate, imidazole lactate, imidazole acetate의 증가가 일어난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지만 일부에서 언어장해나 가벼운 지능장해를 일으킨다. Histidine 섭취 제한으로 치료하지만 소아에게는 histidine이 필수이기 때문에 제한량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 Phenylalanine, tyrosine

이 아미노산들의 주된 대사경로는 그림 14.16과 같다. Phenylalanine은 phenylalanine 4-hydroxylase의 작용으로 tyrosine이 되고 이어서 tyrosine aminotransferase에 의해 아미노기를 잃고 4-hydroxyphenylpyruvate를 생성한다. 다음에 4-hydroxyphenylpyruvate oxygenase에 의해 탈탄산되고 phenyl기에 히드록시기가 첨가되어 homogentisate가 생성되며 계속해서 homogentisate 1,2-dioxygenase에 의해 phenyl 고리가 산화적으로 분열되어 4-maleylacetoacetate가 생성된다.
이것은 maleylacetoacetate isomerase에 의해 trans-체로 이성화되어 4-fumarylacetoacetate가 되고 이어서 fumaryl acetoacetase의 작용으로 가수분해되어 fumarate와 acetoacetate가 되며 전자는 TCA 회로에서, 후자는 β-산화과정에서 더욱 대사될 수 있다.



Phenylalanine과 tyrosine의 주된 대사경로
 

부신이나 신경조직에서 tyrosine은 tyrosine hydroxylase에 의해 L-3,4-dihydroxyphenylalanine(DOPA)가 되고 DOPA decarboxylase에 의해 탈 탄산되면 dopamine이 생성된다. 이어서 dopamine은 dopamine oxidase에 의해 norepinephrine이 되고 이것은 phenylethanolamine-N-methyltransferase의 작용으로 S-adenosylmethionine으로부터 methyl기를 받으면 epinephrine이 된다.

그리고 melanocyte에서 tyrosine은 tyrosinase에 의해 산화되어 DOPA가 되고 이어서 DOPA oxidase에 의해 dopaquinone으로 전환된 후 축합하면 melanin 색소가 된다. 또 tyrosine은 갑상선호르몬인 triiodothyronine과 thyroxine의 전구물질이다.
  Phenylalanine을 tyrosine으로 전환하는 phenylalanine 4-hydroxylase가 선천적으로 결핍되면 페닐케톤뇨증(phenylketonuria)을 일으킨다. 이 경우 tyrosine이 생성되지 않고 혈장 중의 phenylalanine 농도가 상승하며 부경로에서 아미노기 전이반응으로 생성된 phenylpyruvate와 이것에서 유도된 phenyllactate, phenylacetate, 2-hydroxyphenylacetate 등의 요중 배설이 증가하게 되고 epinephrine과 melanin의 생산이 저하된다.

증상은 정신발달 지체, 신경증상(운동과잉증, 간질, 소두증)을 나타낸다. 또 melanin 합성 이상으로 피부, 모발, 홍채로의 색소침착 저하가 일어나고 일광홍반이 나타나기 쉽게 되며 phenylacetate 배설에 의해 요나 땀은 자극취를 낸다. 이 질환은 신생아 만명당 1명의 비율로 나타나며 치료하지 않으면 30세 미만에서 75%가 사망한다. 저 phenylalanine 우유를 공급하여 치료한다.
선천성 티로신혈증(tyrosinemia) Ⅰ형은 신장과 간에서 4-hydroxyphenylpyruvate oxygenase의 결핍, 간에서 methionine 분해효소 활성저하가 원인이며 혈중 tyrosine, 4-hydroxyphenylpyruvate, methionine의 농도가 증가하고, 4-hydroxyphenyllactate, 4-hydroxyphenylacetate, 4-hydroxyphenylpyruvate의 요중 배설이 증가한다. 급성형은 1세 미만에 황달, 간비종, 복수 등의 간부전때문에 사망하게 되며 만성형은 소아기에 발육불량, 결절성 간경변, 간암, 판코니증후군을 동반하는 근위세뇨관 기능장해 등을 일으킨다. 저 phenylalanine, 저 tyrosine 식이로 치료한다.

선천성 티로신혈증 Ⅱ형은 간에서 tyrosine aminotransferase의 결핍이 원인이다. 혈중에 tyrosine, 4-hydroxyphenylpyruvate의 농도가 증가하고 요중에 tyrosine, tyramine, N-acetyltyramine, 4-hydroxyphenyllactate, 4-hydroxyphenylacetate 등의 농도가 증가한다. 증상으로 소두증, 각막이상 등의 다발성기형, 홍반, 손 및 발바닥의 과다각화증, 정신발육 장해 등을 보인다. 방향족아미노산과 단백질의 투여를 적게 하는 식이요법으로 치료된다.
  알캅톤뇨증(alkaptonuria)은 간과 신장에서의 homogentisate 1,2-dioxygenase 결핍이 원인이다. Homogentisate가 요중으로 배설되며 요를 오래 방치하거나 알칼리를 첨가하면 산화되어 검은 색으로 변한다.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나 오래된 환자의 경우에는 조직갈변증과 관절염 증후를 수반하기도 한다.

Tyrosinase 음성 안 피부백피증(tyrosinase-negative oculocutaneous albin
ism)은 상염색체 열성유전에 의한 것으로 melanocyte에서 생성되는 tyrosinase의 결핍이 원인이며 melanin 형성 장해로 눈이나 피부, 머리털의 melanin 색소 감소 및 소실이 일어난다. 증상은 일생동안 백발을 보이고 피부는 홍조를 띠며 피부암 발생율이 높은 동시에 심한 안구 진탕, 광선공포증, 시력감퇴를 보인다. 
 
-Tryptophan

Tryptophan의 주된 대사경로를 그림 14.17에 나타내었다. 동물에서 tryptophan은 glutarate 경로에서만 탄산가스와 물까지 분해되거나 그 이외의 대사중간체는 요중으로 배설된다. Tryptophan은 tryptophan oxygenase의 작용으로 pyrrole 고리가 열리면 N-formylkynurenine이 되고 다음에 kynurenine formylase에 의해 kynurenine이 된다.
이어서 kynurenine은 kynurenine hydroxylase와 kynureninase의 작용으로 3-hydroxyanthranilate가 된다. Kynureninase는 보효소로 vitamin B6을 요구하는데 이것이 결핍되면 kynurenine 유도체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아 xanthurenate가 생성되어 요중으로 배설된다. 이후에 3-Hydroxyanthranilate는 산화, 탈탄산, 탈아미노 등의 반응으로 α-ketoadipate가 되며 이것은 산화적 탈탄산반응에 의해 glutaryl-CoA를 형성하는 대사과정을 거친다. 또 3-hydroxyanthranilate는 quinolinate를 거쳐 niacin으로 전환되거나 또는 picolinate로 되어 요중으로 배설된다.


Tryptophan의 주된 대사경로
 

한편 tryptophan은 hydroxylase에 의해 5-hydroxytryptophan이 되며 이것에 L-amino acid decarboxylase가 작용하면 강력한 혈관수축제인 5-hydroxytryptamine(serotonin)이 생성된다. 또 송과체 조직에서 serotonin이 acetyl-CoA에 의해 N-acetyl화되고 이어서 5-OH기에 methyl화가 일어나면 melatonin(N-acetyl-5-methoxyserotonin)이 생성된다.

이상의 아미노산 대사에서 생긴 유기질소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면 표 14.3과 같다.
 


특수 아미노산 대사

- β-alanine과 γ-aminobutyrate

β-Alanine은 pyrimidine염기(uracil)의 분해로 생성되며 아미노기 전이반응으로 malonic semialdehyde가 되고 다음에 succinyl-CoA가 되어 TCA회로로 들어가 대사된다. 또 β-alanine은 carnosine, anserine 등의 구성성분이 된다. 과β-알라닌혈증(hyper-β-alaninemia)은 β-alanine transaminase의 결핍이 원인이며 혈액과 요에 유리 β-alanine, β-aminoisobutyrate, taurine의 농도가 현저하게 높아진다. 증상으로 기면(嗜眠), 최면(催眠), 간질상 경련발작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β-alanine의 주된 대사경로
 
Glutamate에서 α-카르복시기의 제거로 γ-aminobutyrate(GABA)가 생성된다.(그림 14.19 참조). Glutamate decarboxylase 반응은 뇌에서 활발히 일어나며 GABA는 뇌의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이다. GABA는 아미노기 전이반응에 의해 succinic semialdehyde로 전환된 다음 산화에 의하여 succinate가 된다.

이 측로는 에너지 생산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TCA 회로에서 에너지 생산의 약 8%가 이 경로에 의한 것이다. Glutamate decarboxylase는 신장 등에도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그 생리적 역할이나 뇌의 효소와의 상동성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다. GABA aminotransferase는 뇌, 간장, 신장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succinate semialdehyde dehydrogenase와 함께 mitochondria 내에 존재한다.


γ-aminobutyrate의 주된 대사경로
 
- Taurine, hypotaurine

포유동물의 각 장기에는 taurine, hypotaurine 등이 상당히 함유되어 있으며 뇌, 신장, 심장 등에서 cysteine 대사의 주 경로로 되어 있다.(그림 14.20 참조)

Taurine은 cysteine으로부터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생성된다. Cysteine이 oxidase에 의해 산화되어 cysteine sulfinate가 된 다음 탈탄산되어 hypotaurine으로 되는 경로가 있고 또 cysteine이 탈탄산되어 cysteamine이 된 다음 산화되어 hypotaurine이 되는 경로가 있으며 이것이 더욱 산화되면 taurine이 된다. Taurine은 담즙산과 결합하여 taurocholate 등이 되어 담즙의 성분이 되어 분비된다.
 

Taurine, hypotaurine의 주된 대사경로
 
- D-아미노산

D-아미노산은 언제나 D-amino acid oxidase에 의해 산화적 탈아미노화되어 α-케토산으로 되어 유기산 대사로 직접 들어가거나 L-아미노산 transaminase에 의해 L-아미노산으로 변환되어 대사된다.(그림 14.21 참조)
D-amino acid oxidase는 포유동물의 각 장기, 특히 간장, 신장에 존재하고 있으나 쥐의 간장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D-glutamate나 D-arginine은 D-glutamate cyclase나 D-arginase에 의해 대사된다. 또 D-아미노산의 대사에는 장내세균도 관여한다. Meso-α,ε-diaminopimelic acid와 같은 meso-형 아미노산은 탈탄산과 아미노기 전이에 의해서 L-아미노산으로 변환된다.


D-아미노산의 주된 대사경로
 
- Glutathione

Glutathione은 두 단계에 걸쳐서 유리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된다. 먼저 glutamate의 γ-카르복시기가 ATP에 의해 활성화되고 cysteine의 아미노기와 함께 amide를 형성한다. 다음 dipeptide 중 cysteinyl 잔기의 카르복시기가 ATP에 의해 활성화되고 glycine과 축합하면 glutathione이 합성된다.
Glutathione의 작용으로 세포내로 아미노산을 운반하는 γ-glutamyl 회로가 있다.(그림 14.22 참조) 형질막 중에 존재하는 γ-glutamyl transferase가 세포내의 glutathione과 세포외의 아미노산을 기질로 하여 생성한 γ-glutamyl 아미노산과 cysteinylglycine을 세포내로 방출하는 것에 의해 아미노산을 세포내로 운반하며 이 과정에서 3ATP가 소모된다.


γ-glutamyl 회로
 
-Carnosine, anserine

Carnosine과 anserine은 모두 척추동물 골격근 내에 널리 분포한다. ATP가 AMP와 pyrophosphate로 분해되면서 β-alanine에 histidine의 α-아미노기가 결합하면 carnosine이 생성되고 이것에 methyl기가 부가되면 carnosine이 생성된다.(그림 14.23 참조)
Anserine은 칼슘의 체내 수송 및 Ca2+ - ATPase 작용을 자극한다. Anserine은 carnosine과 매우 비슷한 거동을 나타내며 양자 모두 dipeptide 형인 채로 소장관막에서 흡수된다. Carnosine 혈증은 Carnosinase의 결핍이 원인이며 혈장, 수액, 뇌 중에 β-alanine과 histidine을 함유하는 peptide가 증가한다. 정신발육 장해, 경련 발작이 주증상이며 치료법은 없다.
 

Carnosine, anserine의 주된 대사경로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서울 서초구 잠원동 76-5 금정빌딩 301호. TEL:070-8876-6988. MAIL:intertrot@gmail.com
Copyright ⓒ vegedocto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