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XT


NEXT




 
작성일 : 14-11-02 21:55
근막 통증 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MPS)
 글쓴이 : 설경도
작성일 : 14-11-02 21:55 조회 : 6,706  
   http://www.seumi.com/bbs/board.php?bo_table=nb5&wr_id=396 [519]
Myofascial pain syndrome (MPS)은  근막 수축에 의해 유발된 만성 통증 증후군이며 chronic myofascial pain (CMP)이라고도 하며 다수의 trigger point를 가지며 전이통(referred pain), 운동 범위 제한(ROM 제한), 수면 장애 등 증상을 동반한다. 전신 근육에 생길 수 있지만 주로 목, 어깨, 위팔, 허벅지 등에 빈발하며 목에 생길 때는 ‘목이 뻐근하고 뒤통수가 당긴다’고 표현하는 일이 많다. 근막 통증 증후군은 경부(목)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활동성 유발점(trigger point)에 의해 통증이나 자율신경 증상이 나타난다.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근막의 통증 유발점은 갑자기 근육에 스트레스가 가해지거나 근육 긴장 과다, 조직 손상, 근육 세포 내 칼슘 농도 조절 이상 등에 의해 생기며 근막 통증 증후군이 개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육 일부가 지속적으로 수축되면 그 부위에 대사산물이 증가, 축적되고, 그 결과 주위 혈관이 압박되어 혈류가 감소한다. 유발점으로 척수로 들어가는 여러 신경섬유가 자극되어 연관통(referred pain; 체내의 장기에 병적인 변화가 일어났을 때, 그 부위에는 통증이 나타나지 않고 그 장기와 떨어져 있는 피부표면의 특정 부위에 통증 또는 감각 과민이 느껴지는 것)과 자율신경 증상이 나타난다.

활동성 근막 유발점(통증 유발점trigger point)은 골격근에 존재하는 과민한 부위이며, 극심한 압통을 나타내는 팽팽한 띠 또는 매듭처럼 만져진다. 활동성 유발점을 만지면 아프고, 근육이 원래 길이만큼 늘어나는 것을 방해하며, 근육을 약화시키고, 적당히 자극되면 국소적인 경련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유발점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며, 국소적 혹은 전신적으로 땀이 나고 털이 곧추서는 등 자율신경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두통으로 내원하는 환자는 주로 뒤통수가 뻐근하며 지속적으로 당기는 증상을 호소한다. 근막 통증은 정신적 스트레스, 바이러스 감염, 춥거나 습기 찬 날씨, 장기간 지속되는 긴장 상태, 과도한 근육 사용 등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목 주위, 골반 주위에 흔히 발생하며 특징적인 증상 및 압박 시 동통이 발생하는 등 신체 검진을 통해 진단한다.

가벼운 경우에는 휴식과 마사지, 온열 치료를 하면서 일반적인 진통제(타이레놀 등)로 조절할 수 있다. 중등도 이상의 경우에는 활동성 근막 유발점에 바늘을 삽입하여 이를 파괴하는 시술을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근막 동통증후군 환자는 해당 근육 부위를 사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인다. 통증이 일시적으로 경감되기 때문이다. 활동성 근막 유발점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벼운 마사지, 온열 치료 등과 함께 휴식을 취하면 호전될 수 있다.
 
신체 근육이나 근막이라면 어디라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부위에 따라 여러 국소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육통은 심층부의 지속적인 통증이다. 원인 및 위치, 정도에 따라 경미한 불쾌감부터 격심한 통증까지 느낄 수 있다. 대개 피부 밑에서 knots(결절, 매듭)가 보이거나 만져지며 통증은 냉, 온 찜질이나 휴식 등에 의해 저절로 해결되지 않는다.
 
근막통증 증후군(MPS) 및 섬유근육통(fibromyalgia)
MPS와 fibromyalgia는 과흥분(hyperirritability) 등 증상을 일부 공유하지만 MPS와 FM은 별개의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동반될 수 있다. FM은 만성 통증과 과흥분을 동반한다. 반면에 MPS의 통증은 신체의 많은 부위에 생기고 통증 유발점, 최대 전이통 부위에 아직 국한되어 있다.
 
섬유근통(firomyalgia)
양측성의 광범위한 근골격계 통증, 허리 아래 위 쪽의 뻣뻣함을 가지는 전신적인 통증 증후군이다. 알려져 있는 18 부위 중 적어도 11 부위에서 심한 민감성이 동반된다.
근육통(myalgia) 및 다수의 통증 유발점(만지면 압통이 유발되는 근육의 국소 부위) 이 특징인 비관절성 류마티즘 증후군이다.
근육통은 추위에 노출되거나 활동하지 않으면(inactivity) 더욱 악화된다. 따라서 수면장애, 피로, 강직, 두통등 증상을 동반하고 우울증이 생기기도 한다. 섬유근통과 만성 피로 증후군은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섬유근통은 일차적 또는 이차적으로 모두 생길 수 있다. 20~50세의 여성에게 빈발한다. Fibromyositis Syndrome, Fibromyositis-Fibromyalgia Syndrome, Myofascial Pain Syndrome, Fibromyositis Syndrome, Fibrositides 등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MPS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불명이다. 결합조직 질환 등 일부 전신 질환이 MPS를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불량한 자세 및 감정적 장애가 MPS를 초래하기도 한다
Trigger-point release techniques을 이용한 마사지 요법은 단기간 통증 경감에 유익하다. gentle stretching 및 운동을 포함한 물리 치료는 운동 범위(ROM) 및 motor coordination 회복에 도움이 된다. 일단 trigger points가 소실되면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을 개시하여 국소 근육계의 장기적 건강을 지지한다.
 
근막 통증 치료에 3 종류의 약물이 사용된다.
1)    항우울제(anti-depressants, 일차적으로SNRIs)
2)    칼슘통로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s): pregabalin (Lyrica),
3)    근육 이완제(muscle relaxants): Baclofen.
 
조심스러운 근막 다루기 및 마사지를 포함한 Myofascial release로 개선 또는 치료한다. 하요부 MPS 치료에 dry needling의 효과는 표준 치료의 보조적 수단으로 유용하다. 그러나 증례가 작고 quality가 적어 분명하게 추천하기 어렵다. Posture 및 인체 공학적 평가를 하면 치료 초기에 증상 경감에 도움이 된다.
Alexander Technique 및 Feldenkrais Method 등 Movement therapies도 도움이 된다.
 
정의
Myofascial pain syndrome은 만성 형태의 근육통이다. Myofascial pain syndrome의 통증은 trigger point라고 하는 민감한 지점 주변에 집중된다.
Trigger point는 만지면 아프다. 그리고 통증은 해당근육 전체로 퍼진다.
거의 모든 사람이 때때로 근육통을 경험하지만 수일 지나면 자연 소실된다. 그러나 MPS는 자연 소실되지 않고 지속되거나 악화된다.
Trigger point에 의한 근막통은 두통, 하악통(jaw pain), 목 통증, 하요부통, 골반통, 팔 및 다리 통증 등 여러 종류의 통증을 보인다.
MPS의 치료 옵션은 물리치료, TPI(trigger point injection), 약물 등이다.
 
MPS의 증상 및 증후
(1)   근육 심층의 욱신거리는 통증(aching pain)
(2)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통증
(3)   근육경질(Muscle stiffness)
(4)   해당 근육 근처의 관절 경직
(5)   일부 근육에 매듭(결절) 또는 팽팽하게 만져지는 부위가 존재하며 만지면 매우 민감하다.
(6)   통증 때문에 수면이 어렵다
 
원인
손상을 받거나 과다 사용한 후 근육에 팽팽한 근육 섬유의 민감한 부위가 존재한다. 이곳을 trigger points라고 한다. 근육의 trigger point는 근육 전체의 통증 및 긴장(염좌)을 초래한다. 이 통증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때 myofascial pain syndrome이라고 한다.
Trigger point는 Myofascial pain syndrome을 유발한다. 근육의 trigger points 위험을 증가시키는 인자는
 
(1)   근육 손상(Muscle injury). 근육 스트레스는 trigger point를 형성하기 쉬워 근육 이 손상받을 때 trigger points를 형성한다.  이런 근육 스트레스가 반복되면 MPS 위험을 증가시킨다.
(2)   운동하지 않는 비활동성(Inactivity): 수술이나 뇌일혈 등 후처럼 근육을 사용할 수 없다가 다시 근육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 근육에 trigger points를 경험할 수 있다.  
(3)   스트레스 및 불안(Stress and anxiety)

스트레스 및 불안이 반복되면 근육에 힘을 주기 쉽다. 이와 같은 긴장이 반복되면 trigger point에 민감한 근육을 남기기 쉽다.
 
(4)   연령
중년층에 빈발한다. 젊은 사람의 근육은 스트레스 및 긴장(염좌)에 대한 극복 정도가 더 크다. 따라서 MPS가 잘 생기지 않는다.
 
(5)   성별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다. 왜 그런지는 잘 모른다.  
 
합병증(Complications)
Myofascial pain syndrome은 다른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① 근육 약화(Muscle weakness).
 MPS가 지속되면 비활동성 때문에 근육이 약화된다. Trigger point는 일반적으로 근육에 상처를 주지 않는다. 하지만 통증 때문에 해당 근육 사용을 꺼리게 된다. 이 때문에 근육 약화를 초래한다.
 
②   수면 장애
MPS의 증상 및 증후 때문에 야간에 수면을 취하기 어렵다. 편안한 수면 자세를 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자다가 움직이면 trigger point를 건들어 깨어난다. 이때는 수면제를 복용한다
 
③    섬유근통(Fibromyalgia. )
myofascial pain syndrome의 일부에서 fibromyalgia를 유발한다. Fibromyalgia 는 넓게 퍼지는 통증을 초래한다. FM 환자의 뇌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통증 신호에 더 민감해진다.
 
질문
(1)   증상은 무엇인가?
(2)  가장 통증이 심한 부위는 어디인가?
(3)   통증 지속 기간은 얼마인가?
(4)   통증은 간헐적인가 아니면 지속적인가?
(5)   통증을 개선시키는 것이 있는가?
(6)   통증을 악화시키는 것은 무엇인가?
(7)   통증이 아침이나 하루 중 특정 시간대에 더 악화되는가?
(8)   귀하는 취미나 업무상 반복되는 작업이 있습니까?
(9)   통증이 일상활동을 제한합니까?
 
통증의 원인을 결정하기 위해 증상 및 증후에 대한 질문을 한다. 통증이 있는 부위를 관찰한다. 이학적 소견 중 의사는
(1)  trigger points(유발점, 통증)를 만져본다. 조심스럽게 손가락으로 통증 부위를 눌러 환자의 반응을 살피면서 가장 민감한 부위를 알아낸다. 그리고 그 부위를 갑자기 세게 눌렀다가 빼내면서 trigger point를 확인한다.
(2)  Trigger point(유발점, 통증)를 조작한다. 유발점이나 언저리에 압력을 가한다. 유발점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에 따라 특이한 반응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면 연축(痙縮)을 일으키기도 한다.
근육통의 원인은 많다. 따라서 다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서 다른 검사를 하기도 한다.
 
치료 및 약물
물리치료, 유발점 주사(TPI), 약물 등으로 치료한다.  한가지 치료 방식이 다른 치료 방식보다 좋다는 근거는 없다.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한가지 이상의 치료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1)  물리치료(Physical therapy)
물리치료사는 증상 및 증후에 근거하여 치료 계획을 세운다. 물리치료의 종류에는
 
①    Stretching.
gentle stretching 운동은 해당근육의 통증을 경감시킨다. 스트레칭 도중 유발점 통증을 느끼면 물리치료사는 피부에 마취용액을 분무할 수 있다.
 
②     Massage.
물리치료사가 해당근육 통증 경감을 위해 마사지한다. 근육을 따라 long hand strokes하거나 근육의 특정 부위에 압력을 가하여 근육 긴장을 방출시킨다
 
③    통증의 원인 알아내기
물리치료사는 통증에 관여하는 인자를 확인하고 교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면 불량한 자세는 하요부 근육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 이때 물리 치료사는 자세 교정할 수 있는 운동 방식을 안내한다.
 
(2)  Trigger point injections
TPI 중 근육의 유발점이나 그 주변에 여러 개 바늘을 삽입한다. 유발점 주사(TPI)는 needling이라고도 하며 유발점을 유발하는 근육의 긴장을 경감시킨다. 소량의 마취약물을 바늘을 통해 주입하기도 한다. Corticosteroid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3)  약물 치료: 근막 통증 증후군의 증상 및 증후 경감에 도움이 되는 약물은
(가) NSAIDs: ibuprofen (Advil, Motrin 등), naproxen (Aleve) 등 NSAIDs가 근육통 경감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일부 환자에게는 무용하다
(나) 우울증 약: 삼환계 항우울제가 통증 경감 및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4)  운동: 가벼운 운동이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된다. 통증이 허락한다면 계속 움직인다. 운동 방법이나 종류에 대해 물리치료사나 의사와 상의한다..
(5)  휴식(Relax):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 상태에서는 더 통증이 심해진다. 휴식, 명상, 친구와 대화하기 등도 도움이 된다.
(6)  과일, 야채 등 건강식이가 좋다.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에너지를 통증 극복에 사용한다.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설경도 14-11-02 22:39
 
전기생리학과 침구경락 체계
http://blog.naver.com/ryderchung/90100775170
 
   
 

서울 서초구 잠원동 76-5 금정빌딩 301호. TEL:070-8876-6988. MAIL:intertrot@gmail.com
Copyright ⓒ vegedoctor. All rights reserved